JEONG
HYEKYEONG
JEONG
HYEKYEONG
HYEKYEONG
The Traditional Muntin, 2022
Material: Wool, Chiffon, Organza, Bamboo
Technique: DIgital Textile Printing, Embroidery
Wood Weaving
Technique: DIgital Textile Printing, Embroidery
Wood Weaving
︎




The design was created based on application of the components of antique Korean windows found in our country’s traditional buildings.
The design was created based on application of the components of antique Korean windows found in our country’s traditional buildings. In addition, by interpreting the value of “reuse” in the traditional windows as sustainable fashion, it presents what sustainable fashion is about in terms of not only materials but also the style. In order to bring a modern expression and manifest the inner strength of soft femininity, the design was created, inspired by “Le Smoking.” The design is based on the various pattern forms of the windows used for the palaces and the rooms of wives of nobility such as wanjasal, ajasal, sutdaesal, kotsal, Tisal and jeongjasal.
한국 전통 건축물에서 발견되어지는 한국 전통 창호의 구성요소를 응용하여 디자인 하였다. 또한 전통 창호 사용에 있어 이루어지는 '재사용'이라는 특징을 지속가능한 패션으로 해석하여 소재 뿐만아니라 스타일에서 지속가능한 패션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현대적으로 표현하고 부드러운 여성의 내면적 강인함을 표현하고자 '르 스모킹'을 착안하여 디자인하였으며, 과거에 궁궐에 사용되었거나 사대부의 안주인 공간에 사용되었던 완자살, 아자살, 숫대살, 꽃살, 띠살, 정자살을 활용하여 디자인 하였다.
通过在韩国传统建筑中发现的韩国传统窗户的构成要素并应用完成了这次设计。另外,将传统窗户使用中体现出的“重复使用”特点解释为可持续的时尚,不仅在材料上,而且在造型上也展现出可持续的时尚。为了充满现代感地表现这一点,表现出温柔女性的内在坚强,采用了“烟熏感”进行了设计,活用了过去用于宫殿或用于士大夫的女主人空间使用过的万字纹、亚字纹、数字纹、花纹、带纹、井字纹进行了设计。
이를 현대적으로 표현하고 부드러운 여성의 내면적 강인함을 표현하고자 '르 스모킹'을 착안하여 디자인하였으며, 과거에 궁궐에 사용되었거나 사대부의 안주인 공간에 사용되었던 완자살, 아자살, 숫대살, 꽃살, 띠살, 정자살을 활용하여 디자인 하였다.
通过在韩国传统建筑中发现的韩国传统窗户的构成要素并应用完成了这次设计。另外,将传统窗户使用中体现出的“重复使用”特点解释为可持续的时尚,不仅在材料上,而且在造型上也展现出可持续的时尚。为了充满现代感地表现这一点,表现出温柔女性的内在坚强,采用了“烟熏感”进行了设计,活用了过去用于宫殿或用于士大夫的女主人空间使用过的万字纹、亚字纹、数字纹、花纹、带纹、井字纹进行了设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