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ang Mingshun
Liang Mingshun
Eternal Flame , 2022
Material:
Wool
Technique: Tufting
Size (WxDxH): 136 x 50 cm / 53.5 x 19.6 inch
Technique: Tufting
Size (WxDxH): 136 x 50 cm / 53.5 x 19.6 inch
︎
©︎2022 Liang Mingshun. All Rights Reserved.



The inspiration for this work comes from the "Eternal Fire" Waterfall located in Chestnut Ridge Park, New York, United States. There is a burning flame inside the waterfall, called "Eternal Fire"
The inspiration for this work comes from the "Eternal Fire" Waterfall located in Chestnut Ridge Park, New York, United States. There is a burning flame inside the waterfall, called "Eternal Fire" because it has been burning for thousands of years and it is extremely hot. As the Chinese idiom "There is no construction without destruction” goes, fire can destroy things; but when things are destroyed, it also means that they will be reconstructed. So I think fire is a miracle in nature. This eternal fire waterfall looks like a phoenix that has experienced nirvana and rebirth while imprisoned in the waterfal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oenix and the waterfall is like the "yin and yang" in ancient Chinese philosophy. It is unified, opposed, and mutually transformed, forming a balanced coexistence. I think this is the most ideal harmonious coexistence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so I want to show my idea through this work.
이 작품은 미국 뉴욕주 체스트넛 리지 공원 내 ‘이터널 플래임’ 폭포에서 영감을 얻었다. 이 폭포는 내부에 사그라들지 않는 불꽃이 있으며 천년 동안꺼지지 않고 매우 뜨거워 ‘이터널 플래임(영원의 불꽃)’이라고 불린다. 중국에는 ‘낡은 것을 파괴하지 않고 서는 새로운 것을 세울 수 없다’라는 성어가 있다. 불은 모든 것을 훼멸시키지만 이 속에서 새로운 생명 혹은 의미를 부여 받기도 한다. 불은 자연에서 매우 신비한 존재라고 생각한다. 그리고이 이터널 플래임 폭포는 마치 열반을 거쳐 다시 태어난 봉황이 폭포에 갇힌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봉황과 폭포는 중국 고대 철학 사상의 ‘음과양’의 관계라고 말할 수 있으며 통일되고 대립되며 융화하여 공존하는 균형적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이는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가장 이상적인 상태라고 생각하며, 이 작품을 통해 이러한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다.
这次作品的灵感来源于位于美国纽约栗岭县公园内的“永恒之火”瀑布,该瀑布内部有一团持续燃烧的火焰,因千年燃烧不绝且炙热无比而被称为“永恒之火”。中国有个成语叫做“不破不立”,火可以给事物带来毁灭,但是当事物被毁灭时,也意味着它们被赋予了新的生命或意义。所以我觉得火在自然界中是一种非常神奇的存在。而这个永恒之火瀑布看起来就像是一只经历了涅槃重生后的凤凰被囚禁在瀑布里,也可以说凤凰和瀑布之间的关系就像中国古代哲学思想中“阴阳”一样,统一、对立和互化,形成了共存的均衡状态。而我认为这正是人与自然和谐共存的最理想状态,所以想通过这个作品传达这一想法。
